1. 관리자 계정, admin 정보, 관리자 대시보드 정보, 관리자 로그인 정보, 게시판관리자 정보 등 모두 같은 표현입니다.
일반적인 랜딩페이지 제작에서 관리자 주소는 사이트 주소의 뒤에 /adm 의 주소가 붙습니다.
예로 탑티어치과의 경우
https://toptierdental.com/adm
https://toptierdental.com/adm/
adm 뒤에 / 를 입력해도 주소는 동일합니다.
위의 주소로 입력하면 이 주소가 다른 주소로 바로 변경됩니다.
https://toptierdental.com/bbs/login.php?url=https%3A%2F%2Ftoptierdental.com%2Fadm%2F
이 주소는 관리자로 접근하기 위한 특별한 주소를 만드는 과정으로 약간의 보안과정을 거치는 주소이므로 자세히 볼 필요는 없습니다.
이렇게 입력이 된다고만 이해하면 됩니다.
오픈솔루션 뿐만 아니라 기업 전용 자체 솔루션이라도 모두 전용 관리자 페이지 주소를 가지고 있습니다. 보통 adm , admin등의 폴더를 사용합니다. 관리자 화면은 회사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비슷한 과정으로 접근합니다.
2. FTP접속정보, 서버접속정보, 호스팅접속정보, SSH 접속정보, TELNET 접속정보 모두 같은 표현입니다.
통상 호스팅서버에 접근하기 위한 정보를 ftp주소라고 하며 가장 많이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ftp주소 (호스트주소 ) 는 홈페이지 주소를 사용하기도 하며 2차 주소로 별도의 주소를 가지기도 합니다.
서버 접속 정보를 알고 있으면 접속하는 홈페이지의 모든 데이터를 복사할 수 있으니 매우 조심해서 다뤄야 합니다.
예를 들어서 아래처럼 4가지의 정보를 가지고 있습니다
ftp 주소(호스트) : oneupcreative.kr
ftp id(사용자명) : oneupcreative
ftp pw(비밀번호) : oneup4321!@#$
포트 : 특별히 사용하는 서버일 경우만 지정된 번호를 사용, 일반적인 서버일 경우는 따로 기입하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