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광고 매뉴얼
ㅇ 온라인 키워드 광고 (네이버 , 다음, 구글)
ㅇ네이버 플레이스
ㅇ파워컨텐츠
ㅇ 네이버 / 다음 / 구글 배너광고
ㅇ 타게팅 게이츠
ㅇ 당근광고
ㅇ 유튜브
ㅇ 인스타
ㅇ 브랜드 검색 광고
ㅇ 네이버 (파워링크) 다음 (프리미엄링크) 구글 – 키워드 광고
- 심의 없이 진행 – 진료시간, 전화번호 , 위치 등
- 심의 진행 – 진료 과목 , 사용 장비 등 사실 확인이 필요한 내용
ㄴ 제목 15자 내용 45자 이내 (띄쓰 특수문자 포함)
- 심의 비용 11만원
- 심의 번호 없는 파워링크는 심의가 필수적이지 않을 시절 광고를 등록했을 경우임.
ㄴ 지금은 기본정보 이외는 모두 심의 필수 사항
- 클릭당 비용
ㄴ 예상 데이터 미리 확인 가능
- 지역 타겟 / 노출 키워드 둘 다 설정 가능
ㄴ지역 기반으로 진행하는 광고입니다. [해당 지역 키워드 + 진료과목] 을 설정이 가능한데 이 때 검색 시 치과의 광고가 뜰 수 있는 지역 범위 또한 설정이 가능. 보통 지역키워드는 치과 주변으로 설정해 두지만 지역 설정은 장단점이 있음.
- ㄴ지역 설정을 전국으로 했을 경우 – 전 지역 어디에서나 내 치과가 뜰 수 있다 예를 들어 선릉에서 일하는 김은비 대리가 근무중에 집앞에 있는 치과를 가고 싶어서 검색 하면 전지역으로 노출 설정 시에 우리 치과가 노출 되니 타겟이 됨 , 대신 높은 비용 과금될 수 있음
- ㄴ 지역 설정을 타겟 했을 경우 – 비용적인 면에선 효율적으로 운영이 가능하나 지역 노출에 있어서는 한정적임
- Pc / 모바일 각각 운영 가능. 주변이 오피스 지역이 아니거나 경쟁이 너무 심한 키워드의 지역일 경우 모바일만 진행 추천. (보통 과금의 80% 모바일 20% pc)
- 입찰가 형식임. 키워드 검색 시 상단 노출 되고있는 치과는 하단의 수많은 치과들보다 클릭당 비용을 가장 많이 내고 있다고 보면 됨.
- 보통 홈페이지 링크를 걸어놓으나 url이라면 타 링크도 가능. (ex. 플레이스로 연결되면 플레이스 문구 하단에 사업자등록번호와 대표자명 표기 필수)
파워링크 ? 비즈사이트?
- 파워링크 : 1~10순위
- 비즈사이트 : 15~20순위
>> 파워링크에서 밀려난 사이트는 비즈사이트로 들어감.
- 키워드 별 파워링크 및 비즈사이트 위치 다를 수 있음
- 네이버 로직에 맞춘 거라 수정 불가능
- 키워드 입찰가 및 광고 진행 중 얻은 품질지수(광고 진행 기간, 키워드와 해당 사이트의 연관성 등 반영)에 따라 순위 세팅
네이버 플레이스
플레이스 상순위 노출을 원할 때
- 주소 기반으로 검색 키워드가 임의로 설정되어 원하는 키워드를 설정할 수 없음. 하지만 제외 키워드 설정은 가능
- 한 키워드 안에서 경쟁하는 업체가 1~9개까지는 클릭 당 비용 55원 . 노출 순서도 정해져 있지 않고 사이 좋게 랜덤으로 롤링 되어 노출
- 10개 이상일 경우 입찰가 형식으로 변환 , 이 때부턴 비용을 높게 설정한 업체가 앞쪽에 뜰 수 있는 경쟁구도
- 심의 받고 진행
- 하단 문구 (ex 구강악안면외과전문의대표원장 진료~ 임플란트 사랑니 발치 등등) 은 심의 내용
- 이미지 또한 심의 대상이며 의료진 이미지 사용 시 상근인 의료진만 노출 가능 , 편집된 이미지는 이용 불가 (문구 추가 불가)
- 경쟁이 센 치과는 여러 캠페인 운영하여 하루 예산을 다 소진하더라도 계속해서 광고 운영이 되어 노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
- 최대 입찰가 5000원까지
- 하루예산 20000원까지
- 한 캠페인당 30000원까지
파워컨텐츠
>블로그 글의 상순위 노출을 원할 때
- 설정한 키워드를 검색 시 설정한 지역에서만 해당 블로그 글이 뜰 수 있게 셋팅하는 광고
(ex. 임플란트 라는 키워드를 강남구 에만 뜨게 설정했다면 강남구에 위치해 검색 시에만 해당 광고가 노출)
(키워드는 셋팅 할 수 있는 키워드가 정해져 있음. 임의로 원하는 키워드를 추가할 순 없지만 키워드 데이터는 아주 광범위함)
- 클릭당 비용 과금 . 키워드마다 비용 상이
- 광고들도 순서가 있는데 이 또한 입찰가 순서대로 배열됨
- Pc / 모바일 각각 운영 가능
- 소재로 심의 받고 진행 (소재란? 왼 이미지처럼 검색 시 보여지는 제목 , 이미지 , 문구)
- 내용은 심의대상이 아님. 소재만 의료법에 맞춰 진행하고 내용에 대한 관리는 네이버 측에서 하는데 네이버에선 하나하나 의료법 관련해서 단속은 잘 하지 않는다고 함. (ex, 턱관절에 대한 파컨 소재는 의료법 준수해서 셋팅하고 턱관절 세정술 내용으로 가능)
ㅇ 네이버 / 다음 / 구글 배너광고
네이버 gfa (성과형 디스플레이 광고)
^gfa 배너 예시
네이버 메인이나 뉴스 , 밴드 등 모바일 주요 서비스에 노출되는 배너
심의 필수
규정 상 18글자 제한
규정 상 4줄로 고정 제한
글씨 크기 제한
^다음 배너 광고
카톡, 다음 홈화면, 카카오스토리, 카카오 페이지 등 뜨게 됨
^GDN (구글 배너 배너광고)
구글이 직접 운영하는 사이트나 제휴를 맺고 있는 대형 언론사 , 사이트 등에 노출됨.
- 배너 광고는 브랜딩을 목적에 두고 진행하는 광고
- 지역, 나이, 성별 등을 타겟팅 할 수 있어 전략적으로 노출 할 수 있음
ㅇ 타게팅 게이츠
- 검색 데이터나 소비자가 관심을 가지고 누르는 뉴스 기사 클릭 데이터 , 특정 카테고리 사이트 방문 데이터 등을 기반으로 노출
- 소위 말해 따라다니는 광고 배너라고 생각하면 됨
ㅇ 당근광고
- 당근마켓 광고는 온라인에서 불특정 다수에게 노출되기 때문에 반드시 심의가 필요
- 광고비의 경우 노출되는 동네, 횟수에 따라 달라지게 되며 일반적으로 1000회 노출 당 4~5,000원. 1회 클릭당 약 500원
- 주변 상권이나 유입 나이대를 고려해서 운영 제안 드리는데 보통 신도시라 젊은 부부층이 많이 살거나 3~40대가 많으면 특히 당근이 활성화 되어있기 때문에 제안
- 전문가 모드로 전환하여 랜딩 페이지 같은 당근 광고 가능
- 즉각적인 유입을 타겟에 두고 광고를 진행한다면 가격적인 면이나 이벤트 내용으로 진행, 그게 아니라면 치과 장점으로 내용 기획
ㅇ 유튜브
- 나이 성별 위치 노출 시간대 모두 타겟 가능
- 영상 주제를 타겟, 키워드 타겟 가능
- (ex. 인테리어 라고 치면 ‘오늘의집 인테리어’ 광고가 상단에 뜸)
- 최소 한달 100만원부터 운영할 수 있어야 함. 그 이하의 금액은 효과 미비
ㄴ 브랜딩 목적이 아닌 즉각적인 환자 유치와 문의로 이어지게 하려면 광고 내용 자체를 가격적인 메리트가 있게 진행
- 원업 진행x 류대표님이 15% 수수료 가져가면서 진행하나 치과엔 그냥 운영 수수료 발생한다고만 안내
- 인피드 광고(검색 결과/영상 아래 추천 영상)
– 클릭해서 해당 영상에서 시청 시 과금
- 소재 길이 제한 없음
영상 앞/중간/끝에 나오는 인스트림 광고
– 광고 5초 후 건너뛸 수 있음
– 30초 이상 시청 시 광고비 과금
– 소재 길이 제한 없음
ㅇ 인스타
- 타겟팅은 위치, 관심사, 연령, 성별까지 가능하며 일일 예산은 최소 2,000원 부터 최대 1,000,000원 까지
- 광고 게재 기간은 1일도 가능하며, 노출을 원하실 때 까지 운영 가능
- 추산 도달수는 타겟 설정과 일 예산을 얼마로 설정하느냐에 따라 달라짐
ㄴ 서울, 전 연령, 모든 성별 대상으로 일 10,000원 셋팅 했을 때 추산 도달수는 970~2,600회 정도로 예상 (예상 데이터이기 때문에 실제로 셋팅 및 운영 시 도달수에 차이가 있을 수 있음)
- 광고 타켓팅을 위한 연령 및 성별과 위치(반경 1km~30km까지) 설정이 가능
- 따로 심의는 안받고 진행하여도 크게 문제는 지금까지 없었음. 인스타 , 페이스북, 유튜브 같은 경우는 외국 사이트이기 때문에 매체 안에서는 의료법 심의가 필수이진 않음. 하지만 민원 제기 시엔 똑같이 문제는 될 수 있음.
ㅇ 브랜드 검색광고
- 해당 브랜드 명을 쳤을 때 배너가 뜨는 광고
- 배너의 형태도 여러가지이며 어떤 형식이냐에 따라 비용도 달라짐 (이미지 참고)
ㄴ (이미지만 , 이미지 롤링 , 영상 , 배너 + 영상 등등)
- 30일 기준 680만원 ~ 1000만원까지 비용 다양하며 운영 가격대가 있는 편